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유럽에서 잇따르고 있는 탈북 망명 움직임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> <br>어제 저희 채널A가 유럽에서 북한 외교관 가족이 망명했다는 소식 단독 전해드렸죠. <br> <br>참사관급 그러니까 중간 간부급이라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유럽 지역에서 망명한 북한 대사관 주재원이 또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망명 소식까지 합치면 유럽 곳곳에서 북한 망명이 이어지는 겁니다. <br> <br>북한도 바짝 긴장하며 감시 체제를 강화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유럽의 한 국가에서 최근 망명한 북한 외교관의 직책은 '참사관급'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 우리 정부는 외교관과 함께 망명한 가족 일부까지 신병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북한의 외교관 직책은 우리나라와 비슷한데 참사관은 대사와 공사보다 아래 직책이고 서기관보다는 높습니다. <br> <br> 부임한 국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공무원 급수 3급 또는 4급에 해당합니다.<br> <br>외교 소식통은 "북한의 재외공관에서 참사관은 일반 주민들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경제적으로도 훨씬 여유로운 환경에서 살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이와 함께 유럽 주재 북한 대사관에 있던 주재원 일부도 망명한 것으로 추가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 유럽 지역 내 북한 대사관에서 탈북 정황이 잇따라 드러난 것은 이례적입니다. <br> <br>북한 사회에서 핵심 계층으로 불리는 외교관들의 망명 시도가 반복되는 것은 체제 균열의 증거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태영호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북한 체제를 떠받들고 있어야할 핵심 계층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은 김정은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전반적인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거죠." <br> <br>윤석열 정부 출범 후 북한 인권과 내부 실태 고발 분위기가 강조되는 가운데 핵심 계층의 탈북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